An     Works / CV / Texts 



A Study on Pink Lens Effect, 2014, digital print, 237.5 × 107.5 cm
- From the Seoul Museum Exhibition Introduction -
"Driven by the curiosity of 'how can something be proven?', the artist’s work proceeds, and the canvas ends up containing only the methods used to search for those answers. Ultimately, it is the viewers themselves who arrive at these answers."

Artist Minjeong An was inspired by architectural drawings, finding fascination in the way countless lines and symbols serve not just as decorations but as carriers of information. Motivated by this, she began to visualize invisible things—such as childhood memories or people—using numbers and text.

The work <A Study on Pink Lens Effect> is based on real photographs of the artist and her husband. In Korea, when someone is in love and sees everything about their partner in a positive light, we call this having ‘bean pods over their eyes,’ meaning you only see the good in the other person. Although there are studies around the world trying to analyze love and phenomena like this theoretically, it is still very difficult to clearly define all the factors of love in numbers. Minjeong An uses precise mathematical images to visualize these unquantifiable feelings of love, aiming to make the intangible visible.

콩깍지에 관한 연구, 2014, 디지털 프린트, 237.5 × 107.5 cm
-서울미술관 전시 소개 中-
“어떻게 증명할 것인가라는 호기심 속에 작업은 진행되고 화폭에는 오로지 답을 찾기 위해 사용된 해법들만 남게 된다. 그리고 그 해답들은 궁극적으로 관객에게 존재한다.”

안민정작가는 건축가의 도면을 보고 수많은 선과 기호가 장식이 아닌 정보를 담고 있는 것에 매력을 느끼고, 이에 영감을 받아 어린 시절 추억이나 사람 등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의 수치와 문자로 가시화 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콩깍지에 관한 연구> 는 실제 안민정 작가 부부의 사진으로 작업을 진행했다. 흔히 사랑에 빠진 이들이 서로에 대해 무조건적인 긍정적인 긍정적 평가를 하는 현상을 두고 ‘콩까지가 씌였다.’고 표현한다. 실제 이러한 콩깍지 현상을 비롯하여 ‘사랑’에 대해 이론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여전히 사랑의 여러 요인을 명확하게 수치로 규정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안민정은 이처럼 수치화할 수 없는 사랑의 감정을 정확한 수학적 이미지로 가시화하여 무형의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