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Works / CV / Texts 
Rockport)_USA
(미국락포트출판사 인터뷰)
UPlaying With Sketches
About ten your ago while working as a web designer, Minjeong An came across an architectural floor plan on the web. She found the complicated lines and signs beautiful and compel-ling. At that moment, she saw the beauty of the drawing's dots, lines, and labeling as neither decorative nor auxiliary, but important carriers of information.
"I think the impression of the blueprint was quite deep. "An say, "When I was in graduate school, one day I thought of measuring my self with rulers and creating a self-portait." An wants to convey things like personality, energy, aura, and even past memories, making the invisible visible. to draw people into everyday thing, she uses an authoritative appearance of scientific schematics. In her self-portrait, An also wants to juxtapose the cerebral with what she calls "gentle sentiments" to balance the viewer's experience.

스케치로 탐구하기
약 10년 전 웹 디자이너로 일하던 민정 안(Minjeong An)은 웹에서 건축 도면 하나를 우연히 보게 되었다. 그녀는 그 복잡한 선과 기호들이 아름답고 매력적이라고 느꼈다. 그 순간, 도면에 있는 점, 선, 표기들이 단순한 장식이나 보조 요소가 아니라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매개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 도면이 준 인상이 꽤 깊었다고 생각해요.” 안은 말한다. “대학원에 있을 때 어느 날 문득 자로 제 몸을 측정해서 자화상을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죠.” 안은 성격, 에너지, 아우라, 심지어 과거의 기억까지도, 보이지 않는 것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사람들을 일상적인 것에 끌어들이기 위해, 그녀는 과학적인 도면이 가지는 권위 있는 외형을 활용한다.
자화상 작업에서 안은 분석적인 사고와 자신이 말하는 “부드러운 감정들”을 병치시켜, 관람자가 느끼는 경험의 균형을 이루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