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Works / CV / Texts 
Huffington Post Arts_USA
(미국 허핑턴 포스트 아트부분 인터뷰)


< http://www.huffingtonpost.com/2012/01/24/minjeong-an-breaks-life-down-into-technical-terms_n_1229811.html >
Minjeong An Breaks Life Down Into Technical Terms

Minjeong An's website gives you scant information about her, but the Korean artist's incredibly detailed diagrams provide everything you would ever want to know. Through a labor-intensive process, the artist systematically deconstructs memories, experiences, feelings and her own body, beautifully illustrating them with her intricate graphs and layouts.

Inspirations for each piece differ, but the meticulous approach that An takes stays constant. In reference to her self-portrait, she writes on her website: "Technically speaking, I first measure each body part, including the length, distance and angle, and then transfer the measured dimensions onto the paper." She continues, "In the process, even small moles, scars and pimples on the skin are carefully observed and translated into symbols." Normally we try to hide our quirky imperfections, but An not only makes them a part of her work, she draws them to scale!

An tackles issues of everyday life, such as the role of family and our emotional states, but the way she tackles the subject matter head-on brings new meaning to the phrase 'art therapy.' When hearing about the work, one may feel that the artist's experiences are becoming less human through their technical interpretation. On the contrary, An conveys an inherent thoughtfulness that works to make the diagrams more human, causing us to rethink such foolish ideas. View a slideshow of Minjeong An's incredible work (and sharp wit) below.



안민정, 삶을 기술적인 용어로 풀어내다.

안민정은 자신의 웹사이트에서 본인에 대한 정보를 거의 제공하지 않지만, 이 한국 작가의 매우 정교한 도표들은 우리가 알고 싶은 모든 것을 보여줍니다. 그녀는 노동집약적인 과정을 통해 기억, 경험, 감정, 그리고 자신의 신체까지 체계적으로 해체하여, 복잡한 그래프와 도식으로 아름답게 표현합니다.

각 작품마다 영감은 다르지만, 안민정이 사용하는 세밀한 접근 방식은 항상 같습니다. 자화상에 대해 그녀는 웹사이트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기술적으로 말하자면, 먼저 각 신체 부위의 길이, 거리, 각도를 측정한 다음, 그 치수를 컴퓨터 화면에 옮깁니다. 이 과정에서 작은 점, 흉터, 여드름까지도 꼼꼼히 관찰해 기호로 바꿔 표현합니다.”

우리는 보통 이런 작은 결점을 숨기려 하지만, 안민정은 오히려 그것들을 작품의 일부로, 실제 크기로 그려 넣습니다.

그녀는 가족의 역할, 감정 상태 등 일상적인 문제도 다루지만, 주제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방식 덕분에 ‘아트 테라피(미술치료)’라는 말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합니다. 이런 작업 방식을 보면, 작가의 경험이 너무 기술적으로 해석되어 비인간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안민정의 작품에는 깊은 사려와 인간미가 담겨 있어, 관람자로 하여금 그런 생각이 잘못됐음을 다시 생각하게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