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works.1   |   works.2   |   CV   |   Texts    |   minjeongart@gmail.com  |  ENG




자화상, digital print, 88x210.3cm, 2007
건축도면, 기계도면 등에서 사용되는 기호등을 가지고 자화상에 적용시킨 것이다. 관객은 이 자화상 도면을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실제 눈으로 접하지 않는 대상을 상상하며 새로운 인간상을 그려보게 된다. 방법적으로 말하자면 대상을 그릴 때 인체의 각 부분과 서로간의 간격, 각도 등을 자로 재어 크기를 화면에 그대로 적고, 피부표면에 보이는 점, 흉터, 뾰루지조차 기호로 전환한다. 그뿐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정신, 영혼이 함께 그려진 자화상으로서 머리 부분에 동심원을 그려 그의 아우라는 반경 몇km인지를 등을 제도하였다.



기억의 회로도(용산전쟁기념관 전시서문)
인간을 사물과 같이 자로 재듯 도면에 그려 나가면 어떨까요? 나의 몸을 자로 재어 도면에 옮겨가는 것 뿐 만이 아니라,보이지 않는 자신, 즉 성격, 에너지, 아우라, 추억 등등 비가시적인 것들도 도면처럼 가시적이고 객관화된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을까요? 여기 걸린 4점의 작품은 작가의 어린 시절의 기억, 가족의 사랑 등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을 기하학적으로, 수학적으로, 정량적으로 표현하면 어떨까 하는 발상을 시작으로 인간의 내면, 기억, 사랑 등을 도며느로 나타낸 것입니다.

인간을 바라보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인간을 구성하는 물질적인 측면과 정신적 측면을 모두 반영하여 시각적, 수학적, 과학적, 건축적 언어를 사용하여 개인의 기억이나 감정이라는 비가시적인 것을 구체화하고 명료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담겨있는 작품입니다.





자화상의 연장선에 있는 작품인 <자화상 출력기>는 관객이 스스로를 제도하는 것이다. 얼굴 생김새 뿐 아니라 취미, 관심사, 현재의 감정 상태, 앞으로의 꿈, 사고방식 등을 컴퓨터에 입력하면 각각의 정보들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의해 기호로 전환되고 결과물은 즉석에서 출력되어 나온다. 이것은 오늘날 현대문명사회에서 마주하는 기계적 경험들을 빗대어 인간의 형이상적 모습을 기계적인 방식으로 시각화시킨 것이다.
과학의 발달로 인간은 대상을 내면까지 깊이 있게 관찰하려 하지 않고 보다 빠르고 쉽게 표피적인 것만을 습득하려고 한다. 나는 평소 지나치기 쉬운 보이지 않는 것을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자동기계에 도입시킴으로써 외적인 생김새는 단순한 기호의 구조적 차이임을 깨닫고 남들과 다른 자신만의 기호를 발견함으로써 개인의 고유한 형이상학적 자아를 돌아보게 하고자 했다.



Copyright(c)by Minjeong An All rights reserved. | minjeongart@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