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Works / CV / Texts 
Fast Company Design_USA
(미국 페스트컴퍼니 인터뷰)
What Would Your Portrait Look Like, As A Blueprint?

Minjeong Ahn renders intimiate portraits as a flood of technical information.

It's rare that we consider information beautiful, or beautiful art informative.

But work by Minjeong Ahn somehow achieves both. She has an unmistakable style of portraiture, one that breaks down complex human relationships into symbols, diagramed with a beyond-skeletal precision. They're meta blueprints, hyperreal diagrams that look at human bodies as one might circuit boards or transit systems.

"10 years ago I came across an architectural floor plan on the web and found the complicated lines and signs just beautiful and compelling this was a kind of clicking moment" Ahn tells Co.Design. "All the elements such as dots, lines and signs written on it were neither merely decorative nor auxiliary, but each of them carried important information. I think the impression of the blueprint was quite deep."

Her work follows suit, somehow finding a balance between both the clinical and the sentimental at the same time. In The Power of a Kiss, she breaks down her mother's kiss before school each day as a physics equation, driven by musculature like the orbicularis oris. But you can also see a stream of love, hearts entering the small child while her arms flap with uncontrollable joy.

In Ahn's grand self-portrait, her first work in this style, she diagrams her own subjective body view in an objective fashion, pointing out physical specs "rough and bony hands" alongside a "scar of unknown origin (1982)" and a "proud six pack" along with technical ones: Her high heel threshold is 7cm. "I just felt showing what I looked like physically doesn't completely show who I was. I naturally expanded my attention to the invisible part of me as well," writes Ahn. "The information of the invisible got to be interpreted as diagrams, symbols, signs or texts, comprising the complicated composition. However, I would say this approach is not for decoration purpose. Instead, I would say the charm lies in that each of the seemingly trivial elements carry important information."

Indeed, her diagrams tell stories you'd lose in murkier smeared pigments. As timeless as Mona Lisa's beauty may be, we'll never know her heel height preference.



당신의 초상화가 설계도(블루프린트)처럼 보인다면 어떨까요?

안민정 작가는 친밀한 초상화를 기술적인 정보의 홍수처럼 그려냅니다.

우리는 정보를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일도, 아름다운 예술이 유익하다고 느끼는 일도 드뭅니다.

하지만 안민정의 작품은 이 두 가지를 모두 이룹니다. 그녀만의 독특한 초상화 스타일은 복잡한 인간관계를 기호와 심볼로 분해하여, 뼈대보다 더 정밀하게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합니다. 마치 인간의 몸을 회로도나 지하철 노선도처럼 바라보는, 메타 블루프린트이자 초현실적인 도식입니다.

“10년 전쯤 웹에서 건축 도면을 우연히 봤는데, 복잡한 선과 기호들이 정말 아름답고 인상적이었어요. 그게 저에게 일종의 클릭하는 순간이었죠.”라고 안민정은 말합니다. “점, 선, 기호 등 모든 요소가 단순히 장식적이거나 보조적인 게 아니라, 각각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었어요. 그 블루프린트가 준 인상이 꽤 깊었어요.”

그녀의 작품도 마찬가지로, 임상적이면서도 동시에 감정적인 균형을 이룹니다. 예를 들어 <키스의 힘>에서는, 매일 아침 학교 가기 전 엄마가 해주던 키스를 물리학 공식처럼, 입 근육(orbicularis oris)으로 움직임을 분석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사랑의 흐름, 아이에게 들어오는 하트, 팔을 휘젓는 기쁨도 볼 수 있습니다.

안민정의 첫 번째 블루프린트 스타일 자화상에서는, 자신의 신체를 객관적으로 다이어그램화하면서도 “거칠고 뼈가 도드라진 손”, “정체불명의 흉터(1982년)”, “자랑스러운 식스팩” 등 신체적 특징과 함께, 하이힐 한계 7cm 같은 기술적 정보도 표시합니다. “단순히 내 외형만 보여주는 건 내가 누구인지 완전히 보여주지 못한다고 느꼈어요. 자연스럽게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확장해서 표현하게 됐죠. 보이지 않는 정보는 도표, 기호, 문자 등으로 해석되어 복잡한 구성을 이루게 됐어요. 하지만 이 방식은 장식이 목적이 아니라, 겉보기에 사소해 보이는 요소 하나하나가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는 점에 매력이 있다고 생각해요.”

실제로 그녀의 다이어그램은, 일반적인 그림에서는 놓치기 쉬운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모나리자의 아름다움이 아무리 시대를 넘어선다 해도, 그녀가 하이힐을 몇 cm까지 신을 수 있는지는 영원히 알 수 없을 테니까요